오답

생물

솹실버 2021. 8. 14. 17:55
단순, 촉진 능동
양방향 수송
늘 고→저
∴고농도와 저농도의 농도가 같아질 때까지 수송(순흐름=0)

단순: 물질 농도구배 비례하여 확산속도증가
촉진: 포화양상
한방향 수송(한번 정해지면 안바뀜)
in vivo 저→고
in vitro 저⇄고
개별수송 집단수송
에너지 사용유무
단순, 촉진
능동
수용체 유무
endocytosis
-수용체매개:용질특이성, 효율성(LDL수송)
-비매개 (막↓)
exocytosis (막↑)
transcytosis(∴막 유지)
수송용질 개수
단일수송
공동수송(syn, anti)
먹이 종류
endocytosis
-식세포(고형, 위족)
-음세포(액형, 막함입)
exocytosis
transcytosis
sp(N말단에 존재하여 소수성 띰)
(N말단은 늘 세포 외부에 노출됨)
tp NLS(중간에 존재하여 절단X)
→번역 중에 SRP의해 rER의 SRP R에 붙어 sp절단되고 결합리보솜에서 번역 완료 (번역 중 이동)→소포체 내 샤페론의해 단백질 접힘(3차구조 형성)
→내막계로 이동(추가신호 필요 ex: 리소좀의 M6p) or 분비단백질
cf) 핵 외막에도 결합리보솜이 있어 SRP R 존재
→세포질의 자유리보솜에서 번역 완료
→미토콘드리아, 엽록체로 이동→단백질 접힘
ex) 시트르산합성효소
∴ TCA회로 유전자는 Mt 내 존재 X
→세포질의 자유리보솜에서 번역 완료
→이미 접혀지면서 핵으로 이동

지질대사 in 동물세포
1. 지방산 대사
합성: 세포질 (오탄당인산경로로 얻은 NADPH이용) ↔식물은 엽록체
분해(C-C 공유결합을 끊어 2개씩 절단, NADH, FADH₂ 생성): 퍼옥시좀, 미토콘드리아 ↔식물과 효모는 퍼옥시좀
2. 인지질 합성: 소포체
지방산 신장, 불포화, 중성지방 합성, 콜레스테롤 합성, 지질단백질 합성: 활면소포체sER
리소좀은 소포체에서 가수분해 효소 합성하여 골지체, 엔도좀을 거친 소낭형태 (=내막계) 단, 지방산 분해효소는 없다
: H+pump, 전압의존성 Cl¯ch, H+의 AA 2차능동수송체
기능: 세포 내 소화-식세포, 음세포 작용, 세포 괴사(not 사멸)-영양분 분해, 손상되거나 노화된 소기관 분해
질병: 테이삭스-hexosaminodase A 기능결손으로 당지질(ganglioside) 축적, 폼페-산성 α glucosidase 기능결손으로 글리코겐 축적, I cell병-M6P부재로 분해대상만 쌓임
액틴미세섬유 미세소관: 지름 가장 큼
ATP결합시 중합 촉진
미오신 운동단백질
세포질 유동(조류, 식물에서 관찰↑)
수축환, 근육수축, 위족운동
GTP 결합시 중합 촉진
중기: 양성 중=음성 탈
후기: 양성 탈>음성 탈
중심체(중심립 2개+γ튜블링): MTOC(형성중심)
염색체 분리, 이동선로, 섬모와 편모 흼 운동
혈당량 조절 혈중 지방산 혈중 AA                          근육
①코티솔: 증가(간 포신촉진)
②인슐린: 감소(갖 포신억제, 간, 근육 글리코겐 합성)
③글루카곤: 증가(간 포신 촉진, 간 글리코겐 분해)
④EP: 증가(간 포신 촉진, 간, 근육 글리코겐 분해)
⑤GH: 증가(간 포신촉진, 조직 포도당흡수 억제)

지방분해하여 증가
자방합성하여 감소
지방분해하여 증가
지방분해하여 증가
지방분해하여 증가
근육 단백질 분해하여 혈중 AA 증가
근육 단백질 합성하여 혈중 AA 감소
무관
무관
근육 단백질 합성하여 혈중 AA 감소
칼시토닌: 혈중 Ca+ 감소 기작
소장흡수, 신장재흡수, 파골세포를 억제
PTH: 혈중 Ca+ 증가 기작
신장에서 vitD 활성
소장흡수, 신장재흡수 촉진, (조골세포 촉진하여)파골세포 촉진
신장에서 인산염 재흡수 억제
휴지막 탈분극(절대불응기) 재분극(절대불응기) 과분극(상대불응기)
Na+,K+ leaky ch, pump 역치넘기면 Na+ 전의ch 서서히 열리다 급격히 모두 열림
불열문닫(반응가능 상태)→불열문열→불닫문열→불열문닫
역치넘기면 K+ 전의ch 열리긴 하지만 과분극 시작 때 모두 열린 상태 Na+ 전의ch이 회복되어감
K+ 전의ch이 닫히기 시작하여 중간에서 모두 닫힘
교감 부교감: 휴식, 배설, 소화
뇌간, 척수끝과 연결
싸움, 도망반응
동공확대, 마른침분비, 기관지 이완
심박수, 박출량 증가, 대부분의 혈관과 내장으로 가는 혈관 수축, 골격근으로 가는 혈관 이완, 간 글리코겐 분해, 소화와 배설 억제
지방 분해, 글루카곤, NEP, EP 분비촉진, 인슐린 분비억제
타액분비, 기관지 수축
심박수 감소
소화와 배설 촉진(내장 평활근 수축, 소화액 분비촉진, 방광평활근 수축)
인슐린 분비촉진, 글루카곤 분비억제
EP, NEP (GPCR)
예외: 땀샘 자극의 Ach (무스카린성), 운동시 근육혈관 이완을 위한 EP(β)
Ach (무스카린성)

시상거치지 않는 예: 측두엽에서 곧바로 변연계로 가는 후각, 소뇌로 가는 평형감각

↳시상을 거친다=최종 목적지가 대뇌피질이다

시각, 변연계로 가는 후각은 연수 안거침

온도, 통각은 척수의 등쪽으로 들어가 교차된 후 배쪽으로 나가 연수로 감

청각 털세포는 부동섬모뿐 (미세융모(액틴미세섬유)에서 유래)

골격근의 T소관과 근소포체는 연결되어 있음(근소포체 기계적 자극 의존성 Ca²+ch)↔심근(근소포체 칼슘의존성 Ca²+ch, T소관 전압의존성 Ca2+ch)

근절길이 짧을수록 가교수 많은거 아님

연축시 등장성구간의 길이는 근육 단축거리가 길수록 길다

에너지원 RUBP=리불로스(케토스..)

기질친화도는 Km과 반비례

운반체 촉진확산에서 효소의 수가 증가하면 vmax는 증가, Km은 일정

경쟁적 불경쟁적 혼합형 비경쟁적
v일정 Km↑
free E
v↓Km↓
E⋅S
v↓Km↑
가장 촉매효율 낮음
free E, E⋅S
v↓Km일정
free E, E⋅S
근육 호기성 조건에서 발효로 인해 가지고 있던 젖산→pyr→TCA회로로 젖산제거(=에너지 생산) (산소부채)
↔코리회로: 근육 혐기성 조건에서 발효로 인한 젖산을 간으로 이동시켜 당신생통해 생성된 Glc 전달받음
근육 과도한 운동으로 산소가 부족해진 혐기성 조건에서 pyr→NH₂첨가→알라닌을 간으로 이동시켜 당신생을 통해 생성된 Glc을 전달받음(근육의 대사의무 이전: 간을 통해 받은 포도당을 대사에 사용)
빠진 NH₂는 요소회로거쳐 제거(오르니틴과 만나 시트를린→아르기닌→오르니틴, 요소)
간: 혈당량 조절 근육: ATP 생산
EP의해 글리코겐 분해, 해당 억제, 포신 촉진하여 혈당량 증가
단식시 주에너지원이 지방이 되면 Mt에서 지방산 분해하여 아세틸coa로부터 케톤체 생성하고 뇌, 골격근이 주로 에너지원으로 이용하고 본인은 사용못함
EP의해 글리코겐 분해, 해당 촉진, 포신X(G6pase부재)하여 ATP합성
CN¯,CO: 전자전달계ⅳ억제(H+pumping 억제)
cf) 처리해도 F₁의 ATPase 활성 무관
동물: O₂↑, ATP↓식물:↓↓
DHP: 짝풀림제로 H+ 농도구배 없앰
동물: ↓↓식물: ↑↓
올리고마이신: ATP 합성효소의 F₀ 억제
동물: ↑↓식물: ↓↓
흥분성
뇌상: 뇌자극(시각, 후각, 미각), 씹고 삼키기→미주신경, 장신경→가스트린 분비→위액분비
위상: 위자극, 위팽창→미주신경, 장신경→가스트린 분비→위액분비
억제성
장상: 지방, 단백질, 산, 탄수화물, 고장성용액, 소장팽창→엔테로가스트론 분비, 위액분비↓ (지, 단의해 cck, 산의해 세크레틴, 탄의해 GIP분비되면 인슐린분비)
위: D세포에서 SS분비→가스트린 분비↓

 

혈압 조절+(체순환)혈류량은 소동맥, 전모세혈관 괄약근으로 조절

체순환: 조직으로부터 CO₂, O₂ 전달받음 폐순환
대사로 인해 조직 내 CO₂ 많아지면 조직 소동맥 이완시켜 전달받음→혈중 CO₂증가→대, 경동맥 화학수용기 활성→심박출량증가시켜 환기 빨라짐→CO₂배출

증가된 혈중 CO₂의해 폐포 내 혈류>기류→기관지 이완, 폐 소동맥 수축→다른 폐포로 혈류를 더 많이 보내 혈류와 기류 균형 맞춤

이완기말 직후 등적성수축기니까 가장 용적이 커진 상태이고, 수축기말 직후 등적성이완기니까 가장 용적이 작아진 상태+좌심실용적과 대동맥압력은 반비례→이완기말 대동맥 압은 최소이고, 수축기말 대동맥 압은 최대

소동맥이완시 '모세혈관'혈압 증가로 부종발생

조직
①적혈구는 O₂의해 Hb로부터 CO₂내놓음
②CO₂제거위해 HCO₃¯는 적혈구로, Cl¯는 밖으로 나가서 적혈구 부피가 줄고
③Hb로부터 H+내놓고(HCO₃¯의한 pH증가 방지
∴ 동맥혈이 됨(해리된 H+가 CO₂로 제거되서 pH가 높다=CO₂적다)
적혈구는 CO₂의해 O₂를 내놓고 받은 CO₂를 Hb과 결합하고 HCO₃¯는 밖으로, Cl¯는 적혈구로 들어와서 부피가 늘고, Hb과 H+결합함(pH감소 방지) ∴ 정맥혈이 됨(pH가 낮다)

고지대'적응'시: 폐포 산소분압 정상보다 적다(=대기 O₂ 적다)→23BPG 증가, 과도호흡으로 호흡성알칼리증 유도, 신장에서 EPO 생산하여 골수에서 적혈구 성숙시켜 늘림→증가된 혈액점성의해 총 말초저항이 커져 조직으로의 원활한 산소 공급을 위해 미토콘드리아 수를 늘려 심박출량 증가→혈압 증가, 산소친화도는 정상과 비슷 ↔ 고지대에 막 도착: 산소친화도를 정상비해 낮춰 최대한 많은 산소공급
운동시: 산소소모가 많아 폐포 산소분압이 낮고 폐포주변 혈류흐름 빨라짐(폐포 환기량 증가)→폐포산소분압이 포화되려면 일반 휴식때보다 뒤에서(폐소정맥쪽에서) 평형을 이룸
제한성: 엘라스틴 증가로 흡기가 잘 안되어 폐확장이 더뎌 폐용량 감소 vs 폐쇄성: 기도저항이 증가하여 호기가 잘안되어 잔기량증가, 흡기와 호기속도 모두 감소

단위
염분 섭취시

분비는 능동 ∴세뇨관쪽이 농도가 더 높다, 근위세뇨관에서 H+는 NH₄+로 분비됨, 요소는 분비보다 재흡수가 더 많음

분비, 재흡수는 그래프상 포화되는 형태=일정한 양의 수송체 관여

RC=GFR: 이눌린

대사성: CO₂일정한데 대사의해 H+변화→빠른 호흡보상, 느린 신장보상 호흡성: CO₂변화→신장보상
H+증가의한 대사성 산증 보상: 호흡↑, H+분비(직접), HCO₃¯재흡수(간접)→CO₂↓or 일정 ex) 제1당뇨
대사성 알칼리증 ex) 고알도스테론증
호흡 저하(CO₂증가→H+증가)의한 호흡성 산증 보상: H+분비(직접), HCO₃¯재흡수(간접)→CO₂ 복구
호흡성 알칼리증 ex) 고지대 도착

동원체개수=염색체 수, dna양=염색분체 수

MPF는 전기부터 준비한다: 라민, 콘덴신 인산화

질환 or 형질 표현형나타내는 유전자형 옆에 적기: 열성질환이면 tt, 우성질환이면 TT, Tt

양성잡종
각각의 대립유전자쌍에 대해 덧셈, 곱셈규칙 이용(독립적으로 분리되니까), A, B 대립유전자별로(마치 단성잡종 자가교배) 자손 표현형이 3:1이면 독립에 완전 우성, 1:1이면 완전연관 

AaBb 양성잡종끼리 교배시
①독립이면 자손 표현형이 9:3:3:1
상위성이면 합은 16만족하나 9:3:3:1아님
연관이면 합이 16아님: 상인이면 비율이 1:n:n:1 고르게 나와 aabb=(n/2n+2)², 상반이면 aabb가 많이 적어=(1/2n+2)²

검정교배시
독립이면 자손 표현형(≈우성부모 유전자형)이 1:1:1:1, 완전연관이면 1:1, 불완전연관이면 1:n:n:1
                                =수컷자손표현형

양성잡종의 자손이 아이를 낳을 때, 집단 내 '정상'인 개체와 교배시 ~일 확률 (하디이면 뭐/p²+2pq or not: 뭐/3를 곱해줘야 함)

이중교차 실제<기대치(단일 교차율 곱×총 자손수) : 간섭(이중교차감소유도)의해

양끝 유전자 교차율<단일교차합 by 이중교차

연관일 때 엄마, 아빠 각각의 교차율 고려하여 계산해야 함 but 부모의 배우자가 4종류가 안된다면 교차의 의미가 없다

교차율≠특정 재조합 '배우자' 나올 확률

50% 미만이면 연관, 최대 재조합 빈도=50%=독립

Rh¯산모 두번째 태아의 D항원(Rh+항원)에 태반을 통과한 IgG가 붙어있을 것이기 때문에 태아 적혈구 분리해서 항 IgM항체 처리시 응집반응 X

원핵 진핵
복제속도 더 빠름
DNA pol Ⅲ: 5‘→3’ pol, 3‘→5‘ exo
Ⅰ: 5‘→3‘ pol, exo(RNA primer 제거, 메꿈), 5’→3’ exo
오페론(전사개시 조절 억제자와 선도펩티드 헤어핀으로 두가지)
뉴클레오좀 푸는데 시간이 걸림
RNA pol Ⅰ: 45s rRNA
Ⅱ: mRNA, miRNA
Ⅲ: tRNA, 5s rRNA(세포질)
GTP 소모 그외
번역 개시(리보솜 대단위체의 결합), 신장(tRNA 전이), 종결(방출인자가 A site 결합하면 해체: tRNA와 펩티드 가수분해 등) ATP 소모: 진핵 번역 개시(개시AA-tRNA와 리보솜 소단위체가결합하여 mRNA 5' G cap 인식 후 개시코돈 스캐닝)
+ Helicase가 단일가닥 풀 때, 진핵 ligase가 nick 연결할 때, 아미노아실 tRNA합성효소가 tRNA에게 AA 넘길 때, 단백질 유비퀴틴화
에스테르결합에너지: 번역 신장(P site의 3' tRNA-펩티드의 에스테르결합을 끊은 에너지로 리보자임이 A site의 AA과 펩티드결합)

수선에서 오결합수선같이 긴 길이는 dna pol Ⅲ이용

유전자가위: CRSPR에 상보적 서열 붙음

trp 많으면 리보솜이 번역 빠르게 되니까 '2번'까지 이동 ∴전사개시중단 = trp 코돈결실시 리보솜이 빠르게 이동

선도펩티드(trp L 1~4)는 trp 있든 없든 전사되고 번역할 때 헤어핀 종류따라 구조유전자까지 전사를 계속 할지말지를 결정하는 것

EtBr: 핵산 염색↔siver stain, 쿠마시블루: ptn 염색

이온교환크로마토그래피는 H+이 단백질음전하 상쇄하여 음이온교환시 더 빨리 용출되도록 함, NaCl은 각각 수지와 단백질 전하 상쇄시켜 크로마토그래피 종류 상관없이 용출촉진

종양세포(암)는 B7없어 성숙 T세포의 CD28과 공동자극 불가능하여 활성화안되고 대식세포가 제시한 항원을 인식

 

성 종류 구분 세가지 Te이 외부생식기 결정, 뮐러관 or 볼프관이 내부생식기로

GnRH 박동성분비는 상류조절(L↓→수용체수'↑') vs 제2당뇨는 하류조절(리간드↑→수용체수'↓')≠생태 상향(아래→위), 하향조절(위→아래)

외배엽
: 피부, 구강, 직장, 신경계(신경관→중추, 체성운동신경, 자율신경절전뉴런, 신경릉→부신수질, 자율신경절후, 감각뉴런)

중배엽
축옆(축방): 머리(두개골), 체절(등쪽 뼈인 척추와 갈비뼈, 근육, 진피)
중간: 신장, 부신피질, 생식소
측판: 체강, 순환계

내배엽
: 인두, 호흡관, 소화관
cf 최초생식세포: 난황낭의 내배엽유래

속씨식물↴

쌍떡잎(쌍자엽) 2차성장을 하기 때문에 측생분열조직존재 외떡잎(단자엽)
원형 줄기: 수가 있음, 관다발을 후벽세포가 둘러쌈, 기본분열조직에서 유래된 피층이 콜크형성층 유도
십자 뿌리: 수가 없음, 전형성층에서 유래된 내초가 콜크형성층 유도
줄기, 뿌리 모두 전형성층이 관다발형성층 유도
정단훅이 하배축 보호
자엽(2n)이 배젖(3n) 모두 흡수하고 발아 후에도 토양에 존재
산재 줄기: 수가 있음, 형성층없음
원형 뿌리: 수가 있음, 형성층 없음(=길이생장밖에 안함)
자엽초가 줄기 보호

ㄱㄴㄷ순: 수피=2기체관+주피, 주피=리그닌 존재 2차 세포벽(콜크층, 콜크피층) & 익스텐신: 세포벽강화, 익스팬신: 셀룰로스 수소결합 끓어 세포벽 느슨

곁뿌리 by 내초, 뿌리털 by표피+두개피층세포와 닿은 표피세포가 GL-2억제, 카스파리안선 in 내피

기공은 ①청색광수용체가 활성화되어 ②양이온펌프가 작동하면 밖으로 배출(과분극)→③양성자와 2차능동 Cl¯ch열려 유입④전의 K+ch(양성자의한 전위차 상쇄위해 채널이지만 저→고)열려 유입

+적색광쬐면 광합성의한 설탕유입→기공열림

↔ABA의해 기공닫힘

지베렐린 앱시스산 옥신 in 줄기정단분열조직 시토키닌 in 뿌리
물관타고 이동
에틸렌(g) 스트리고락톤 브라시노스테로이드 in 세포막
줄기신장, 발아, 개화 촉진
(배아에서 분비되어 호분층 protease 발현유도)
발아, 개화 억제
(생장억제, 휴면 유도)
건조 저항성
(기공 닫음)
스트리고락톤 촉진
줄기신장, 곁뿌리 발달, 정단우성, 잎 탈리 지연
굴중성, 굴광성, 세포산성신장
cf) 유식물 하배축 생장 억제
세포분열 촉진, 곁눈생장, 잎 노화 지연
양분을 수용원으로 이동(양분부족시 시토키닌 합성 감소하여 뿌리성장촉진=시토키닌은 뿌리성장억제)
조직배아 시 줄기신장
삼중반응(줄기신장 억제+비후화, 정단훅 형성하여 휘어짐), 뿌리털 발달, 잎 탈리, 노화 촉진
(O₂는 촉진, CO₂는 억제)
기생식물 종자 발아, 균근유인,
정단우성
(옥신 유사기능)
줄기 및 뿌리 신장(옥신 유사기능)
꽃가루관 신장 촉진
피토크롬 (적색광수용체-단백질인산화효소) in 세포질 포토트롬빈 (청색광수용체-단백질인산화효소) in 세포막
음지회피
녹색화
발아
굴광성
기공열림
엽록체 이동

갈조류, 규조류(이산화규소 골격)는 엽록소 a, c/ 홍조류는 편모가 없어 운동성이 없고 엽록소 a, d/ 녹조류는 엽록소 a, b

광수용체≠광계 광수확복합체

C, H, O, N, P, Ca, Mg, S: 다량원소

무작정 온도보고 식물판단 ㄴㄴ CAM이 밤에 광합성할 때 광합성속도를 측정하면 온도는 C₃보다도 낮다

루비스코는 4차구조 단백질, 명반응 산물 없어도 빛에 의한 활성존재하면 CO₂고정까지는 일어남, pH=8에서 활성

늘 감소하는 생존력(survivarship)=n세대/처음

개체군 구조를 나타내는 생명표를 생존곡선으로 나타낼 때 로그 scale 주의

K전략은 강한 종내 경쟁, r전략은 개체수 변동이 쉬움

알리효과(개체당 증가율이 개체군 크기(밀도)에 비례)는 집단(집중분포)보다는 개별생활 개체군(균등분포)에 뚜렷하게 나타남(=더욱 밀도의존적이라 생식기회 증가) ex) 풍매화 식물(무작위분포) 

생산자 생산량(1차 생산량)=1차 소비자 생물량, 1차 소비자 생산량= 2차 소비자 생물량(2차 생산량)

동물성 플랑크톤은 원생동물로 화학종속영양세균 잡아먹음↔식물성 플랑크톤은 조류

↳BOD와 비례                                                               ↳DO와 비례

질(산)화세균=호기성 화학독립영양세균

질소고정세균의 질소고정효소와 탈질화세균은 혐기성 환경에서 반응일어남

유전적 부동이 작은집단 내 우연한 사건(ex 인위적)으로 대립유전자 빈도가 변하는 거고 자연선택은 환경에 적합한 대립유전자가 살아남는 것

상동기관: 기원동일 형질다름, 상사기관: 기원다름 형질같음 ∴주로 발산진화시 상동, 수렴진화(독립적)시 상사 

'외부군과 내부군'의 공유조상형질과 내부군 중 가장 최근 공통조상에서 유래한 '무엇의' 공유파생형질 구분하기

극피는 성체때 방사대칭으로, 미삭동물은 성체때 척삭사라짐

 

'오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학 new  (0) 2022.01.27
물리 new  (0) 2022.01.25
물리  (0) 2021.08.14
유기  (0) 2021.08.14
화학  (0) 2021.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