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세포막
외재성 단백질은 고염처리, 내재성 단백질 막관통 부위는 계면활성제 처리해서 분리, 저장액 조건에서 단백질 분해효소 처리 시 막관통 부위만 빼고 분해
(단순, 촉진)확산=수동수송: 농도차 따르기 때문에 양방향 수송 가능, 평형(속도=0)에서 외부와 내부 농도 동일(순이동 없음)
능동수송: 운반체 단백질을 수송체로 이용(채널x), 평형에서 한쪽으로 끝까지 용질 이동하여 농도가 0이 됨(한방향 수송)
운반체 단백질: 똑같은 포화 속도를 가진다는 건 수송체 개수 동일하다는 의미
집단 수송인 엔도 시토시스: 식세포, 음세포 작용 또는 수용체 매개 유무 구분, 수용체 존재 시 포화 그래프 양상을 띰, 집단 수송 endo, exo, trans 모두 액틴 미세섬유의 재배열로 ATP를 사용
2. 세포 구조 및 골격, 연접
핵으로 이동하는 단백질 외에 엽록체, mt로 이동하는 단백질은 세포질에서 번역완료 후 소기관 내에서 단백질 접힘을 통해 3차 구조 형성, 내막계, 분비 단백질은 rER에서 번역완료 후 단백질 접힘, 핵막 외층=rER막
식물: 액포 내 '설탕' 형태로 저장(녹말은 스트로마에서만), 리소좀없어서 기능 대체(세포 내 소화), 퍼옥시좀은 존재,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 리보솜 크기 70s로 동일(동물의 미토콘드리아는 55s), 원형질 연락사를 통해 녹말은 이동하지 않고 설탕이 이동
동물과 식물 전자전달계의 H+ pump는 ATP가 아닌 산화환원 전위차 에너지를 이용
퍼옥시좀이 지방산 분해(베타 산화) 시 NADPH(오탄당 인산 경로로 생성됨)가 환원력을 제공하여 NADH와 FADH2 생성(FADH2가 가진 전자를 산소가 받아 H2O2로 환원->카탈라제 의해 분해or다른 독소 제거)
간의 sER cyt p 450(헴 구조)과 퍼옥시좀의 카탈라제는 독소 제거
지방산 합성: 세포질, 지방산 분해: mt, 퍼옥시좀, 지방산 신장: sER (식물: 엽록체에서 지방산 합성, 식물, 효모: 퍼옥시좀에서 분해)
효모는 리소좀이 없고 액포가 대신 존재
리소좀: 식작용을 한 대식세포의 소낭과 결합하여 병원체 분해 (외인성 항원-Th)
세포 괴사는 리소좀이 관여, '척추 동물'의 세포 사멸은 미토콘드리아 cyt c, Fas L
내막계(핵막, 소골막, 엔도좀, 리소좀막, 세포막) 단백질은 sp 이외 추가신호 필요 ex) 리소좀 소화효소에 M6P가 있어야 함
분비 단백질은 SP 신호의해 rER 부착 리보솜에서 번역이 완료되고 내강에서 당화가 일어나 세포막에서 방출될 때는 외부 쪽에 당이 위치
부착연접(데스모좀 구조에 액틴 미세섬유가 붙음, 세포 군데군데 존재)과 밀착연접(세포를 노끈처럼 둘러싸면서 묶어 세포 내 물질 이동 차단)구분
튜블린은 GTpase, 액틴 미세섬유는 ATpase 기능 존재, ~TP가 붙어있으면 중합 촉진
3. 조직
4. 신호 전달
GPCR에 자체적으로 GEF기능있고, Gptn에 자체적으로 GTpase 기능있는데 외부 GAP이 도와줌, Raf는 키나제로서 Ras에 의해 활성화(이때 Ras가 인산화시키는게 아님)
5. 체온 조절
외온동물은 체온 조절에는 대사 진행하지 않음, 환경 온도와 대사율이 비례해서 증가함
체중 당 대사율은 몸집이 작을수록(=단위부피당 표면적이 클수록) 큼 <-> 대사량(절대값)은 몸집에 비례
머리 내부 온도=시상하부 온도=체온 <-> 환경 온도=피부 온도 (대사율이 없을 때 환경 온도=체온)
입모근은 평활근, 중립 온도에서 대사 진행하지 않고 행동, 피하 혈관, 절연성 조절을 통해 수동적 열손실 조절, 환경 온도 감소할 수록 대사를 통한 능동적 열손실 감소
6. 내분비계
호르몬: 펩티드단백질, 아민(티로신 유래 t3, t4, ep, nep, 트립토판 유래 멜라토닌), 스테로이드(콜레스테롤->성호르몬, 코티솔, 알도스테론)
글리코겐 분해: 성장호르몬(비자극경로), 글루카곤, ep의해 간->혈당량 조절위해, ep의해 근육->근수축 위한 에너지 생산
글리코겐 분해를 통한 당신생은 간에서만 일어나고, 신장은 aa, 젖산, 글리세롤 통한 당신생만 함
도파민은 신경전달물질과 호르몬(PIH)으로서 둘 다 작용
PTH의한 비타민D 활성화는 신장에서
대사율 증가 시 체중 감소(혈중 ~ 증가에 헷갈리지 말기)
RIH 호르몬 정량 실험: 방사성과 비방사성 호르몬 동일 종류(경쟁) 이용하여 표준 곡선 작성->샘플을 처리했더니 방사성이 크다=내가 궁금한 비방사성 호르몬 양이 적다, 비방사성 호르몬을 증가시켜도 항체와 호르몬 복합체 개수 일정
7. 신경계
전의 K+ 채널은 역치 전위 때부터 열림, Na+ 채널은 역치 이전부터 서서히 열림
활동전위는 Na의 평형 전위보다 클 수 없음, 불or활 중 하나라도 닫혀있으면 닫힌거임, 활닫불열->활열불열, 활열불닫(절대적 불응기)->활닫불열로 전환(상대적 불응기)
불응기 때문에 활동 전위 한방향 전도, 불응기가 길수록 활동전위 빈도수 감소
화학적 시냅스는 탈분극이어야 시냅스 후 뉴런에게 신경전달 물질 분비 가능, 전기적 시냅스는 변형x
소동맥 수축과 이완은 교감신경의 긴장성 수준 조절(길항작용아님)
8. 감각계
온도, 통각의 2차신경은 척수에서 교차, 나머지 피부 감각의 2차신경은 연수에서 교차(모든 피부 감각의 3차 신경은 시상에서 시냅스 형성)
찐맛, 신맛의 감각수용체는 이온 채널이고 신경전달물질은 세르토닌
청각의 털세포에는 운동섬모(미세소관 유래)+부동 섬모(액미 유래) cf 평형감각의 털세포에는 부동선모 뿐
정교냄새 아닌 이상 후각을 제외하고는 모두 시상을 거침, 시각과 후각은 연수 거치지 않음
9. 골격계
골격근은 근소포체막과 T소관 연결, 심근은 떨어져 있음, T소관에 전압의존성 칼슘 채널이 있는건 심근이고 골격근은 채널이 아니고 전압에 의해 근소포체의 채널을 누름
느산 근섬유는 중성지방, 빠해 근섬유는 글리코겐을 에너지원으로 주로 저장(에너지 대사로 구분)
10. 에너지원
단당류 고리 가역적 결합, 이당류 O 글리코시드 결합은 공유결합이라 비가역적, 설탕은 작용기 모두 글리코시드 결합에 참여해서 비환원당
당은 뉴클레오티드 합성에 사용됨(오탄당 인산 경로, TCA회로)
방향족 아미노산 티로신(고리 2개)>트립토판(고리+oh)>페닐알라닌(고리) 순 a260 흡광도 큼
(페닐알라닌->)티로신은 L도파, 도파민, NEP, EP 또는 티로글로블린, T3, T4, 멜라닌 전구체, 인산화 효소 역할
D, L폼 구분: 작용기에서 가장 먼 카이랄 탄소가 오른쪽이면 D form
다당류 맨 앞쪽 1번은 환원 말단
완충액 역할: 세포 내액에서는 인산, 단백질이, 세포 외액(혈장)에서는 중탄산염, 아미노산(시스테인의 R기 pKa가 7근처)
11. 효소와 대사
Km=최대 속도/2일 때의 '기질'농도, 불경쟁적 억제자는 촉매효율 일정
기질 수준 인산화: 해당과정, TCA회로 / 화학 삼투적 인산화: 전자 전달계
pyr 산화효소(=탈수소효소)는 mt 기질에 존재, pyr->아세틸coa 비가역 과정
아세틸coa->케톤체(간의 mt), 지방산, 콜레스테롤, aa
당신생: 간, 신장의 mt(pyr->옥살산->pep)+세포기질, sER(의 g6pase의해 g6p->glc), 에피네프린 처리 시 GP를 활성화시켜 글리코겐에서 G6P로의 과정 촉진 후 근육은 해당과정 촉진, 간은 해당과정을 억제하고 당신생을 촉진(목적이 달라서 그래,,)
짝풀림제 처리 시 전자전달계가 활성화되나 계속 빠져나가기 때문에 기질 내 H+이 높을 수 없음
12. 소화계
위 부세포가 탄산을 이용해 산 생성할 때 중탄산염이 부산물로 발생하여 cl-와 2차능동수송되어 혈장 알칼리화, 소장이 염기성이어야 유문 괄약근 이완됨, 산성이면 세크레틴 분비해서 산 중화하려고 함
위상 중 소마토스타틴은 위 운동 억제(보통 위상이 위 운동 촉진인 것과 구분)
수용성은 하대정맥, 지용성은 상대정맥을 통해 우심방으로 이동
이미 활성형인 이자 소화효소: 리파제, 아밀라제, Rnase, Dnase <-> 절단되어 활성형: 트립신, 키모트립신, 코리파제
중성지방 제일 많은 유미입자, 콜레스테롤 제일 많은 LDL(by 간), 유미입자와 VLDL은 혈관을 통해 분해되면서 조직으로 흡수
제 1당뇨와 달리 제 2당뇨는 주에너지원이 지방이 아님, 하지만 인슐린 반응성 떨어져 혈중 지방산은 정상인보다 많은 상태
오랫동안 단식 시 지방이 주에너지원이 되어 간이 케톤체 형성하여 뇌, 골격근에서 사용(정작 간은 사용x), pH감소
당신생을 통해 포도당 농도 일정 유지
공생미생물은 육식동물도 가지고 있다, 다만 섬유소를 분해하는 미생물이 없을 뿐
13. 순환계
심실은 이완기 때 혈압이 0이넵, 대동맥압은 등적성 수축기보다 등적성 이완기 때 더 크다(그림 떠올리면 됨), 좌심실과 우심실의 1회 박출량은 동일하고 단지 압이 다를 뿐(PV 그래프 참고)
방실결절 활동전위 전달 속도 느림, 전달되는 동안 심방 수축, 운동할 때 동방결절 역치 준위 동일함, 긴장성 수준 혈압이 가장 변화에 민감
혈중 co2 증가 시 연수에서 교감 활성의한 환기 증가로 인해 혈압 증가도 일어남(정맥환류량 증가)
헤파린은 항트롬빈 촉진으로 간접 억제, 히루딘은 트롬빈 직접 억제
기립성 저혈압은 머리 내 혈류량이 급격히 감소해서 발생, 평균 대동맥압은 심장 주변 혈류량 비례
14. 호흡계
혈액과 가스교환하는 호흡대는 '점액'과 섬모 없는 대신 대식세포 존재
산소포화도 곡선에서 y축 차이는 조직으로 공급된 양->이탄결합Hb보다 정상 Hb이 공급 양 더 많음, 산소친화도는 50% 산소포화에서의 산소분압이 작을수록 높다(마치 Km)
-에 대한 친화도에서 산소와 친화도 증가or감소요인 구분->감소요인에 대한 친화도가 높으면 산소에 대한 친화도는 감소
고산지대가면 대기 O2감소->호흡 증가(적응해도 여전히.. 초반에는 호흡성 알칼리증 생기겠네->H+분비와 HCO3-재흡수 억제), EPO 증가하여 Hb 증가, mt 증가하여 심박출량 증가
적혈구의 hco3-, cl-는 촉진확산
폐순환이 일어난 피는 동맥혈, 적혈구 부피는 감소, co2 감소하여 pH증가하지만 Hb가 수소이온을 내놔 과도한 pH증가 방지
폐쇄성 질환: 기도저항 증가->잔기량 증가, 총폐용량 감소, 제한성 질환: 폐확장 어려움->폐활량 감소, 총페용량 감소, 잔기량 일정or감소
환자 모두 정상인보다 흡기량 감소, 다만 폐쇄성은 호기에 영향이 커서 속도 느림, 폐질환 환자: 호흡성 산증
얕은 호흡(호흡 횟수는 많지만 호흡량은 적은) 지속 시 혈중 co2 증가로 호흡성 산증 유발
15. 배설계
GFR은 혈압이 자가조절범위에 있으면 자가조절방식으로 유지하려 함 but 범위를 넘어서면 혈압 유지를 위한 기작이 우세
여과액은 근위세뇨관에서 삼투 일정(NaCl따라 물이 재흡수되니까), 여과 촉진하는 '모세혈관' 혈압은 수입소동맥 이완 시 증가
요소는 집합관에서 재흡수되어 신장 수질로 확산되면 삼투 형성하여 물 재흡수 도움, 일부는 헨리고리 상행지에서 분비되어 순환
대사성알칼리증: 고알도스테론에 의해 세뇨관 정단면에서 수소이온은 분비, hco3-는 재흡수되어 발생
16. 세포분열
양서류 난자 솔염색체는 전기 1 진정 염색질≠ 초파리 유충 침샘 염색체(거대 염색체: dna 복제, 퍼프: 진정 염색질 인 곳) ≠ 초파리 합포체(다핵세포: 세포질분열x)
세균 생장 곡선에서 안정기 때 마치 K값 도달한 것 처럼 영양분은 줄고, 노폐물은 증가한 상태->돌연변이, 활성산소 증가
생장기와 사멸기 모두 지수적 변화, 흡광도는 생장기 때 생균수보다 기울기 가파르게 증가(죽은세포도 카운팅), 사멸기 때는 완만하게 감소
세포 크기 검문지점은 S기에는 없음, MPF활성은 G2말부터 M기 전반에 존재, 콜히친은 미세소관 중합 억제하여 방추사 형성 감소(특히 중기에서 영향 큼, 즉 중기에 머물도록 함)
후기 초기 때 +말단에서 디네인과 키네신이, -말단에서 키네신이 탈중합하면서 염색분체 분리(중심체 쪽이 -)
체세포 분열 후기, 말기 때 핵상(염색체), 염색분체(dna양)가 G1기의 두배(염색분체는 S기 때 2배, 핵상은 후기 때 2배)
감수 1때는 후기, 말기에 핵상 그대로, 염색분체만 2배, 감수 2때 후기, 말기에 핵상 2배, 염색분체 그대로(S기 없어서)
세포사멸 시 죽어가면서 세포막 비대칭성 약화(PS 외층으로)
17. 멘델 유전학
동형접합이 죽음=열성치사, 성연관은 말그대로 연관이니까 독립일 가능성이 없지
부모형은 무조건 많은거, 이중교차형은 적은거! 부모형이랑 이중교차 유전자형보고 순서 결정 cf) 부모형이 늘 +++인거 아니다..
상연관 독립 양성잡종 교배 시 하나의 형질에 대한 표현형이 3:1 -> 성'연관'이면 암컷과 수컷에서 동일 형질에 대한 비율이 같지 않음
양성잡종 검정교배 시 우성개체 배우자형(=자손 표현형)이 1:1:1:1이면 독립, 1:0:0:1이면 연관
양성잡종 자매교배 시 자손 유전자형이 AABB:AaBb:aabb=1:2:1이면 연관, 9:3:3:1이면 독립
포유류 X염색체 양적보정: 포배기 무작위적 형성 -> 다음 생식 시 풀림
18. DNA 복제
A, C는 아미노기 존재, 나머지는 카보닐기
핵산 변성 시 Tm에서 전개거리 제일 짧음(분자량 동일한데 부피 증가)
sense RNA(전사가닥)=비주형 가닥(sense DNA) 염기 서열 동일, 주형가닥과 상보적임
중합효소도 에너지를 사용(단량체 인산기 떼어내면서 방출되는 에너지 이용), 1번은 프라이머 제거와 그 부위 중합, 나머지 중합은 3번이 함
복제원점은 유전자 x
대장군 helicase는 복제 분기점 쪽 지연가닥 주형에 붙어 5'->3' 이동 (gyrase의해 이중 가닥이 풀렸을 때 뒤따라 진행)
진핵과 원핵 차이 구분: 복제원점 n개, 말단소체(진핵), 복제원점 1개, dna pol 1, 3(원핵), 종결자는 공통, 복제속도는 원핵이 더 빠름, 수명은 진핵이 더 긺
텔로머라제는 리보자임이 아닌 단백질 효소, 복원된 텔로미어 상보적 서열 중합 위해 프라이머 필요, primer는 효소가 아니라 염기서열
19. 유전자 발현
ORF: 개시~종결 코돈->5', 3'UTR+ORF: 전사단위
종결코돈과 상보적인 tRNA의 안티코돈은 존재하지 않음
진핵과 원핵 차이 구분: RNA pol에 helicase 기능x, 전사체 가공, 염색질, 전사, 번역 수준 조절, AAUAA 종결 서열, 종결자x(진핵)
움직이는 주체의 이동 방향 5'쪽: 최근의 것=합성가닥이 짧음, 전사체의 5'쪽과 단백질의 N말단 쪽이 풀려있는 쪽
내 몸 세포 유전자 조성은 대부분 비슷하기 때문에 발현 차이는 전사인자 유무와 조합 차이
20. 돌연변이와 수선
침묵 돌연변이(aa변화x)일어나야 단백질 분자량이 동일, 나머지 돌연변이는 aa변화됐으니 다름
his-원돌연변이 DNApol 수선 기능이 정상이면 his+(복귀 돌연변이)를 his-로 수선
핵형 분석 시 첨가하는 co2는 탄소원이 아닌(식물이 그럼) pH 조절 역할
대장균 뉴클레오티드 절제 수선(endo, helicase 필요), 빛 의존 수선(피리미딘 공유결합 이합체 수선, 식물도 함), 사람은 오결합 수선(mutH와 S가 endo역할, exo, helicase 추가 필요)
21. 세균과 바이러스
파지도 바이러스다,, 세균 바이러스
외피 바이러스: 외막에 스파이크 단백질 존재
동반 형질 도입(or전환)빈도는 a, b 각각, a+b 형질도입된 수가 분모에
형질 전환 효율: 초나선, 환형, ds, 크기가 작을수록 잘됨
trp 오페론 전사 개시 조절: 음성조절, 전사 신장 조절: 전사 감쇄(음성조절로 전사 중단안된 mRNA는 선도가닥까지 전사 후 감쇄조절에 의해 중단됨)
22. 생명공학
서로 다른 제한효소로 절단하여 점착 말단 형성 시 dna 중합을 통해 무딘 말단으로 만들어 붙일 수 있음
플라스미드 정제: 포도당(삼투 유지하여 용혈 방지), EDTA(칼슘, 마그네슘 잡아 세포벽 약화, nuclease 억제), 완충액넣어 현탁->알칼리 조건 맞춰 dna, 플라스미드 변성, 계면활성제 처리하여 세포막 분해 및 단백질 변성->아세트산 포타슘 처리하여 핵산 재생(but 핵산은 엉킴, 플라스미드만 제대로 재생), 핵산 침전->이소프로판올(염) 처리 한 뒤 원심분리->침전물 염 세척 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플라스미드, 분해된 rna 조각) 얻음
면역침전: antiA항체 처리 후 변성 전기영동 후 wb에는 antiB항체써서 A, B의 결합 확인 (단풀 확인)
등전점보다 낮은 pH에서 단백질은 양전하, 높은 pH에서 음전하를 띰
인슐린 이황화결합는 소포체에서, 절단은 골지체에서
크리스퍼 상동 재조합은 돌연변이+수선 가능하나 비상동말단연결(염기 삽입, 결실)은 돌연변이화만 가능, spacer는 파지 서열 유래
23. 면역학
세균or바이러스 죽어도 특정 패턴은 그대로이기 때문에 TLR이 인식 가능
내인성 항원(프로테아좀이 분해해서 펩티드 항원으로)을 소포체에서 만난 MHC1이 제시하고 Tc가 인식
1차 면역이 끝나갈 때 형질세포는 죽고 기억세포가 생김
24. 동물 생식
항믤러호르몬은 미성숙 세르톨리세포에서 분비, Tes, Es 모두 남녀 다 가짐(농도가 다를 뿐)
여포기의 자궁 증식기에서 에스트로겐 농도와 자궁 내벽 두께 비례
25. 동물 발생
뒤에서 앞으로 상배엽 세포들이 이동하면서 안으로 빠지듯이 함입되어 앞쪽에 원조가 생김-> 상배엽 세포가 상,중, 하배엽 만듦
신경관 유래 외배엽 세포는 뇌, 척수에 세포체 존재->감각 신경은 신경릉 유래, 체절이 아니라 척삭 유도신호가 신경관 형성 유도
혈구 세포는 난황낭(배아)->간,지라(태아)->골수(성인) 생성
극피, 척삭: 후구동물(4세포기 때 운명 미결정), 양서류: 낭배 후기에 운명 결정됨, 등쪽 중배엽 유도는 노긴, 배쪽은 BMP4
'동일 위치에' 운명결정된 세포 이식 시 같은 기능이지만 공여자가 아닌 수여자 기관 형성(입부위: 개구리 흡착판, 양서류 평형체)
초파리 구조는 머리가슴배->비코이드: 앞쪽(머리+가슴), 나노스: 뒤쪽(배)
26. 식물학
유조직, 표피조직, 기본조직, 후각조직, 후벽조직, 관다발조직
뿌리혹 세균이 질소를 암모니아로 고정(no3-ㄴㄴ), 탈질화 세균은 혐기성 환경에서, 질소고정세균은 호기성 세균이지만 질소고정은 혐기성에서
팽압=0일 때: 등장액 조건=원형질 분리한계점, 수분 퍼텐셜: 저장액에서는 압력 퍼텐셜, 고장액에서는 용질 퍼텐셜이 주된 요인, 수분 퍼텐셜 최대=최대 팽윤(흡수력=0 물이 더이상 유입x)
팽압이 크다=물이 저장액 조건에서 물이 세포 내로 들어왔었다, 삼투압이 크다=물이 고장액 조건에서 세포 밖으로 나갔었다=수분 퍼텐셜이 작아 물 흡수능력이 크다
기공 열림=과분극에 의해 H+pumping이 활성화되면 칼륨, 설탕(녹말은 x)이 공변세포 내로 이동
반세포에서 합성된 단백질(ex 화성소)은 원형질 연락사를 통해 체관요소로 이동
명반응 이동성 운반자: PQ, PC, Fd (세포호흡 이동성 운반자: Q, cyt c), 비ptn=PQ, cyt bf (Q, cyt c)
루비스코는 늘 빛에 의해 활성, pH=8, Mg2+의해 활성 촉진 (cf 4차 구조 단백질), 이산화탄소 고정 단계는 명반응 산물이 아닌 빛 유무에 의해(루비스코 활성 여부) 진행 결정, 어떤 식물이든 켈빈회로 산물인 'G3P'가 세포질로 나가 설탕을 합성 (녹말: C3, CAM은 엽육세포의 엽록체에서, C4는 유관속초세포의 엽록체에서 합성)
식물에서도 해당과정이 일어나기 때문에 광합성 산물 존재 장소를 스트로마로 국한하지 말기, C4와 CAM의 CO2 고정 장소는 세포기질
정단훅 형성에 지베렐린 관여(지베렐린은 발아 촉진하니까)->에틸렌 의한 정단훅 형성->적색광쬐어 피토크롬의한 정단훅 펼침
익스팬신은 산성환경에서 헤미셀룰로스와 셀룰로스 사이 수소결합 절단, 익스텐신은 세포벽 강화
배아가 지베렐린 분비하고 배젖이 아닌 호분층에서 아밀라제 발현과 분비 촉진해서 녹말 분해하여 엿당을 배아가 흡수
유근 노출 전에 세포 신장을 하고, 유근이 노출되야 세포 분열 가능, 줄기 보호: 정단훅(쌍), 자엽초(외) cf 뿌리보호: 근초(외)
양수는 음지를 회피하기 위해 줄기 길이 생장 촉진 -> 그래도 빛이 충분하지 않으면 죽음, ex 양수: 소나무, 음수: 참나무
신호전달 돌연변이: 리간드인 호르몬이 표적 세포의 수용체에 결합하여 세포 내부에서의 신호전달 이상, 합성 돌연변이: 호르몬 합성 자체 안되는 것(상위성)
27. 개체학
면적 동일하면 피도는 밀도와 비례
생산성 판단은 윗단계 생물량(=2차생산량)으로 비교, 기존 배운 세가지 중에 접목시켜 해석
28. 진화학
처음 생물은 무기종속영양->독립영양->유기종속영양
소진화는 유전자 빈도 변화->대진화(종분화): 동소성, 이소성 ->종유지: 생식적 격리(동소성은 접합 전, 후 격리 모두, 이소성은 곧 접합전 격리의 서식지 분리)
상동기관: 기원 동일하나 기능(형질) 다름, 내부군과 외부군 모두 가지면 공유조상, 내부군만 가지면 공유파생
수렴진화 시 상사기관을 가짐(계통수 단독 존재), 발산진화 시 기원 동일하나 기능이나 표현형이 달라져 상동기관
세균과 식물 공생: 대기 질소 고정, 균근과 식물 공생: 영양분 흡수, 균류는 종속영양 뿐(광합성 x)
고세균 rRNA 서열은 진핵과 유사, 크기는 진정세균과 유사
계통수 그림 상 가깝다고 유연관계 높은게 아니라 최근 공통조상이 가까울수록, 계통수에서 제일 먼저 분기된게 유사도 가장 낮음
패각은 연체동물, 관족은 극피동물이 가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