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70

사람은 반복과 학습만 있다면 발전 가능성이 무긍하다

공부를 계속 하면서 느낀 점이 있다. 해를 거듭할 수록 지식이 가득차는 걸 느낀다. 그리고 이전 해에 치열하고 고독하게 쌓아왔다면 다음 해는 훨씬 수월하고 체화되는 느낌이 확실히 다르다. 그래, 포기만 안하면 언제든 기회는 찾아 올 것이다. 그리고 그 기회를 잡는건 준비된 자만이 재빠르게 본인의 것으로 낚아챌 수 있다. 덤덤하고 꾸준하게 걸어가자.

일기 쓰레기통 2022.02.14

유기 new

1. 물성, 입체화학, 실험 산성도 1. 짝염기의 비편재도와 비례->수소 이온 뗀 비공유 전자쌍 판단 암기 pKa에 포함되는지 확인 ->주변 치환기 효과로 한방에 판단or원칙대로 원공유궤(오른쪽 아래로 갈수록/공명이 될수록, 방향족성 만족하면서 공명 많이 될수록/ ewg가 가까이 많이 달릴수록/H달린 원소의 s성질 클수록 산도 큼)+방향족 음이온 만족할수록 2. 혼성 예외: 공명구조 내 질소, 알릴성 음이온, 방향족은 sp2 3. 치환기 효과: 공명>유도, m자리는 주로 유도, o, p자리는 공명 할로젠: m 유도ewg, p 공명 edg(sp2C에 연결되어 있어서 유도 ewg 세기: F 왼쪽 위로 갈수록/ 공명이 안되어 편재 될수록=sp3일수록, 공명되어 음전하가 될수록/ edg 달릴수록/ H달릴 원소의..

오답 2022.02.09

반응

(순간 반응)속도=(반응)속도 5장 속도론 * (미분) 속도식: 속도와 농도 - (반응)속도=초기속도(정반응만 고려) -> 식에 반응물만 존재 - 주어 없는 속도: 계수가 1인 주어 속도 -> 계수로 나눈 속도(고유 반응속도) - 속도 상수∝계수 -> 속도는 속도상수와 비례 cf) 속도 상수 단위 ⇄ 전체 반응차수, 속도상수는 촉매 유무&온도에 따라 변함 - 주어에 따라 속도 상수 달라지지만 반응차수는 그대로 * 적분 속도식: 시간과 농도 -> 반응물 1종류만 가능 - 반감기 - 반응물 1종류 이상 -> 유사 적분 속도식 * 속도 상수 온도 의존성

화학 2022.02.05

고체compact

가까운 입자(원자)끼리 붙어있다 cf)입자⊂단위 세포 - 단순: 꼭지점 입자끼리 (배위수: 6 a/2) - 체성: 꼭지점과 중심 입자끼리 (배위수: 8 √3a/2) - 면심: 꼭지점과 면 입자끼리 (배위수: 12 √2a/2) * 밀도 계산 cf) (최)조밀쌓임=밀집구조 cf) 분자내 힘(공유결합, 금속결합, 이온결합)>분자간 힘(수소결합, 쌍극자쌍극자힘, 분산력) 분자내 힘인 금속, 이온결합: 전하량 크기 클수록, 양이온 크기 작을수록(반지름 합 작을수록) 결합력 증가 -> 끓는점 ↑ 분자간 힘: 물성 변화 -> 증가 시 증기압, 휘발성 감소/끓는점, 증발열 증가 분자성 고체: 분자간 힘 -> 녹는점 ↓, 경도 ↓, 전기 전도도 x 그물형 고체: 공유결합 -> 녹는점 ↑,경도 ↑,전기 전도도 x 금속: ..

화학 2022.02.04

알켄, 알카인

명명법 우선 순위 (암기) 더보기 COOH>COH>COR>OH>NH₂>이중, 삼중결합>OR NO₂ R X cf) 이중결합 포함 작용기: methylene기, vinyl기(ethenyl기), allyl기(2-propenyl기) 불포화도(IHD): 구조식에서 고리+π결합 수 or 2n+2-a/2 (X: 수소 취급, O: 무시, N: 수소에서 뺀다) cf) 정확히는 접합면 지우고 남은 고리수+1 *알켄 반응: 위, 아래 수직으로 시약 반응 -> 카이랄 생성물이면 라세미 혼합물이 나옴 - 안정성: 수소화(반응 방출)열 측정 -> 수소화열(∝π결합수)과 연소열(∝분자량)∝불안정성 - 치환수: H 제외 작용기 수 2치환(cis, trans): 물성 대부분 cis>trans (예외: mp cis

유기 2022.02.04

반응 개요

화살표 위: 시약, 아래: 용매, 자외선, 가열 등 A,B : 동시 투입 후 반응 진행 A;B : A넣고 반응 진행 후 정제없이 B넣고 반응 진행 1) A 2) B : A넣고 반응 진행 후 정제하고 B넣고 반응 진행 or ;와 동일 시약은 아무 언급 없으면 1당량 예외) 수소, 오존같은 휘발성 기체, Mn7+ 같은 강산화제는 암묵적 과량 용해 금속 환원 반응의 알칼리 금속은 2당량 유기 금속 시약과 에스터 반응은 2당량 황산, 인산 외 유사체 등 강산이나 강루이스산은 촉매량(

유기 2022.02.04

강체 역학

각~ 각거리 θ=s/r 각속도 w=v/r 각가속도 α=a/r cf) 구심 가속도≠각가속도, 접선 가속도 구분 주의 문제 풀 때 거리 or 각거리 중 무엇이 같은지 판단 -> 속도 or 각속도 * 관성 모멘트 -입자: mr² (입자~축) - βMR² (반지름) cf) 주어진 물체, 반지름 기호가 다르면 넣는 자리 의미&β를 그대로 나타낸 것 - 막대(중심축):ml²/12 (전체 막대 길이) cf) 막대(말단축): ml²/3 (막대 평행축 정리해야 하면 쓰지 x) 평행축 정리할 때 +mr²(질량 중심~축) *돌림힘 계산: 1st) 관성 모멘트 계산 2nd) α=a/r -> r은 Iα=rF 계산하면 사라짐 - 작용점~축 r x 접선 F - 작용선~축까지 수직거리 r x 걍 F * 회전축 고정될 때 가속도 a ..

물리 2022.02.03

기체

분압 법칙: 혼자 들어있다 생각하고 구함 (V, T 동일 시 P∝n) *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피스톤: 피스톤에 의해 압력 일정+온도 일정 시 부피와 몰수 비례 * 고정된 콕, 칸막이: 콕을 열고 닫아도 or 칸막이로 나눠도 압력은 농도 개념이기 때문에 동일 but 몰수, 질량 같은 양적인 개념은 부피비대로 나뉨 - 콕a 열고 닫고, 콕b 열고 닫았을 때 콕b 를 닫는건 무시하면 안됨 ≠ 콕a, b를 동시에 열고 닫을 때 * 압력과 부피는 반비레, 압력 or 부피는 온도와 몰수에 비례, 온도 일정 시 압력과 부피 곱은 몰수에 비례 * 압력은 농도 개념 -> Km, Kp 기체 화학양론: (반응한)몰수비=계수비 * 전체 몰수비 변화로 반응한 몰수비 배를 알 수 있음 * 기체 분자수 변화 없는 반응은 처음부터..

화학 2022.01.30

화학 new

낯설고 모르겠으면 과감히 넘 긴 다 ! 11부터는 3 1개 뿐, 주기성이나 실험 4, 5번 다수, 10번까지 옳고 그름을 찾는 문제는 5번까지 확인, 값을 계산하는건 1, 2번 다수, ㄷ보기는 제발 대입 좀 하자,,(ㄴ도 눈치껏 대입 시도), 나머지 모르는 보기는 맞다고 친다, 큰 값이나 복잡한 분수값은 맞는 보기일 가능성 큼 1. 주기성, 루이스 구조, 분자오비탈, 화학양론 다음 자료들에서 공통 원소를 기준으로 대응 시작 이온반지름은 따져봐야 함(이온화에너지 경향이랑 헷갈리지마;): 같은 원자에서 음이온일수록 반발력을 키워 이온반지름 증가, 등전자종에서는 양성자수 클수록 인력이 커져 이온반지름 감소, 기본적으로 같은족 아래로 갈수록 커지네..(주양자수) 0.002 유효숫자 1, 1.2 유효숫자 2, 합..

오답 2022.01.27